[NBC-1TV 박승훈 기자]정치계와 언론계가 촉각을 곤두 세웠던 종합편성(종편)ㆍ보도전문 채널 사업자 선정이 31일 전격 발표됐다.
방송통신위원회 최시중 위원장은 이날 중앙(850.79점), 조선(834.93점), 동아(832.53점), 매경(808.07점) 등 4개 사업자와 보도채널에 연합뉴스TV(829.71점)를 선정 발표하고 "한류를 통해 중국 일본 동남아 등에 우리 문화의 우수성 알리고 한국 브랜드의 가치가 우수한 콘텐츠 기반한 글로벌 경쟁력 키워나가는 데 최선을 기울여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번 발표는 "종편이 시작되는 2011년부터 지상파의 디지털전환이 이뤄지는 2013년까지는 미디어 빅뱅의 시기가 될 것"이라고 언급했던 최 위원장의 의도와 맥을 같이한다. 언필칭, 내년 하반기부터는 새로운 개념의 새 채널들로 인해 지금까지 지상파 방송사가 누렸던 미디어 산업이 지각변동이 불가피 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종편이 절대평가 방식으로 기준점을 넘은 조선, 중앙, 동아, 매경 등 4개 사업자가 발표되자 선정 자체에 의혹이 제기되고 있는 등 후폭풍이 만만찮다. 민주당은 종합편성채널 사업자 선정 발표와 관련해 "의결 절차상에 중대한 하자가 있는 위헌적인 미디어법을 근거로 보수 언론에 특혜를 준 것"이라고 맹비난했다.
전현희 원내대변인은 종편 사업자 선정 결과가 발표된 이후 논평을 통해 이번 종편 사업자 선정은 사실상 청와대가 내정하고 형식적으로 방통위의 형식상 심의를 거친 것으로 선정 절차에서 공정성이 의심을 받고 있다고 밝혔다.
또 이번 종편 선정으로 언론의 부익부 빈익빈 심화와 저널리즘의 황폐화가 우려되고 특정 언론사의 여론독점이 심화되고 공정언론은 위협받게 됐다고 개탄했다.
광고주들의 반응도 무겁기는 마찬가지다. 방통위가 내년도 업무보고에서 지난해 전체 GDP의 0.68%인 광고시장을 2014년 GDP의 1%로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같은 기간 7조5천억원에서 13조8천억원으로 광고시장을 불리겠다고 한데 대해 정작 광고주들인 대기업들은 광고를 단기간에 늘리는 것은 어려울 것이라며 난색을 표했다.
이는 광고 효과가 불투명한 상황에서 전체 광고 수요가 늘어난다는 것도 불투명 하지만 광고주인 기업의 자금 상태도 한계성이 있다는 현실성 때문이다.
만약 방통위의 예상이 빗나간다면 종편들과 지상파들의 경쟁은 물론이고, 종편들끼리도 광고 수주를 놓고 과도한 경쟁을 펼칠 것으로 보인다. 이는 결국 방송사들의 광고유치를 위한 시청자 확보를 위한 선정성 방송 등 비정상적인 미디어 문화를 부채질 할 것이 자명하다.
당장 광고판매를 대행하는 미디어렙 법안의 국회 통과 여부도 부담이며, 이는 향후 종편ㆍ보도전문 채널 사업자 선정의 큰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한편 자유선진당 박선영 대변인은 “앞으로 광고시장을 중심으로 약육강식과 황색 저널리즘의 문제가 더욱 심각해질 것”이라고 우려했지만 여당인 한나라당 안형환 대변인은 “향후 미디어 산업이 국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한 단계 수준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상반된 평가를 내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