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BC-1TV 이광윤 보도본부장]문희상 국회의장은 20일 오전 의장 집무실에서 피터 레스쿠이에(Peter LESCOUHIER) 주한 벨기에 대사의 예방을 받았다. 문 의장은 먼저 레스쿠이에 대사의 부임을 축하한 뒤, “한-벨기에 양국은 1901년부터 아주 오랜 기간 동안 수교를 맺어왔고, 다양한 분야에서 긴밀히 협력해 왔다”면서 “특히 이 자리를 빌려 과거 한국전에 약 3,500명의 벨기에 병사를 파병해주신 것에 대해 다시 한 번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고 말했다. 문 의장은 또한 “송도국제도시 인천글로벌 캠퍼스에 유럽대학 최초로 벨기에 겐트대학교가 진출해 올해 8월 첫 졸업식을 개최했다”면서 “앞으로도 양국간 교육, 인적 교류가 강화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어 문 의장은 “벨기에가 2019-2020년 유엔 안보리 비상임 이사국으로 당선된 만큼 한반도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정착을 위해 앞으로도 적극 지지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에 레스쿠이에 대사는 “내년 3월 벨기에 필립 국왕님의 방한이 예정되어 있다”면서 “내년 국빈 방한으로 오랜 기간 유지해온 양국 친선관계가 더욱 돈독해 질 것”이라고 말한 뒤, 필립 국왕이 방한할 경우 한국 의회의 방문을 요청함
[NBC-1TV이광윤 보도본부장]문희상 국회의장은 20일 오후 의장접견실에서 아세안(동남아 국가연합: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10개국 주한대사들의 예방을 받았다. 이 자리에서 문 의장은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신남방정책을 추진하면서 아세안 국가와의 관계가 강화되고 있다”면서 “국회에서도 아세안 포럼을 만들어 아세안 국가와의 교류 확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문 의장은 “세계 인류의 평화와 번영의 역사는 ‘팍스 로마나’에서 시작되어 ‘팍스 브리태니카’를 거쳐 ‘팍스 아메리카나’,‘팍스 퍼시픽카’의 시대로 진행되었다. 이제는 ‘팍스 아시아나’의 시대가 열릴 차례이며, 그 중심에 아세안 국가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각국 대사들은 문 의장의 환대에 감사의 말을 전한 뒤 한국과의 관계 강화, 자국에 대한 한국기업의 투자확대, 한국과 의회외교 활성화 방안 등 다양한 주제를 논의했다. 이날 예방한 아세안 10개국 주한대사는 캄쑤와이 께오달라봉Khamsouay KEODALAVONG) 주한라오스대사, 라울 헤르난데스(Raul S. HERNANDEZ) 주한필리핀대사, 입 웨이 키앗(YIP Wei Kiat)
[NBC-1TV 이광윤 보도본부장] 문재인 대통령이 5박 6일간의 싱가포르와 파푸아 뉴기니에서 열린 ASEAN(동남아시아 국가연합)및 APEC(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 정상회의 참석을 마치고 18일 오후 귀국했다. 지난 13일 싱가포르로 출국한 문 대통령은 18일 파푸아 뉴기니 포트모르즈비 국제공항에서 전용기에 탑승한 뒤 서울공항을 통해 귀국했으며, 귀국 다음날인 19일은 공식업무를 하지 않고 휴식을 취할 예정이다.
[NBC-1TV 이광윤 보도본부장]문희상 국회의장은 16일 의장 공관에 5당대표를 초청해 만찬을 가졌다. 이 자리에서 문 의장은 “불가에서는 수천겁의 인연을 쌓아야 부모, 형제, 부부 등의 인연을 맺는다고 하는데, 이 시기에 여러분들이 각 당의 대표로 만나고 있는 것도 엄청난 인연의 결과”라며 “어떤 합의를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런 모임 자체가 소중하다”고 강조했다. 참석자들은 이날 남북국회회담 추진 경과 등 현안들에 대해서 격의 없이 환담을 나눴다.
[NBC-1TV 이광윤 보도본부장] 문재인 대통령이 13일 오전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관련 정상회의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서울공항을 통해 싱가포르로 출국했다. 18일까지 5박6일간 이어지는 이번 순방에는 제20차 한·아세안 정상회의와 제21차 아세안+3(한중일) 정상회의, 제13차 동아시아정상회의(EAS) 등에 참석하고 16일에는 파푸아뉴기니로 이동해 APEC 정상회의에 참석해 한국 정부의 '혁신적 포용국가 비전'을 소개한다. 14일에는 아세안 10개국과 한중일 3개국, 호주, 뉴질랜드, 인도 등 16개국이 참여하는 '역내 포괄적 경제 동반자 협정'(알셉·RCEP) 정상회의도 예정돼 있으며,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한·러 정상회담,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와의 한·호주 정상회담 등이 예정돼 있다. 특히 아세안 회의 기간에는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과의 접견을 조율 중이며, APEC회의 기간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의 양자 회담을 추진 중이다.
[NBC-1TV 이광윤 보도본부장] 문희상 의장은 12일 오전 10시 국회접견실에서 조지 퓨리(George J. Furey) 캐나다 상원의장의 예방을 받았다. 문 의장은 “한-캐나다 수교 55주년이라는 뜻 깊은 해에 방문해주셔서 감사하다”면서 “어제 캐나다 상원의원 방문단이 부산 UN 기념공원을 방문해 참전용사들을 기리는 추모행사를 가졌다고 들었다. 양국은 한국전 당시 자유민주주의 수호 위해 함께 싸운 혈맹 관계로 우호 관계를 잘 맺어왔다”고 말했다. 이어 문 의장은 “캐나다는 미국, 중국, 일본에 이어 네 번째로 우리 재외동포가 많은(24만명) 국가”라고 말한 뒤, 이 자리에 참석한 한국계 연아마틴(Yonah Martin) 상원의원을 가리키며 “한국 동포사회가 마틴 의원님처럼 캐나다의 정치사회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퓨리 의장님께서 깊은 관심을 기울여 달라”고 당부했다. 이에 퓨리 의장은 “2003년 이후 15년만에 다시 찾았는데 하나도 변하지 않은 게 한국인의 따뜻한 환대”라면서 “문희상 의장님은 6선 의원으로서 방대한 지혜를 전해줄 것으로 기대”한다며 취임 축하인사를 전했다. 한편 문 의장은 캐나다 상원의원 방문단과 함께한 오찬자리에서 “빨간 단풍잎,
[NBC-1TV 이광윤 보도본부장]故 이금홍 전 세계태권도연맹 사무총장 8주기 추도식이 11일 생전 집무실이 있는 경인미술관과 묘소가 있는 용인에서 각각 엄수되었다. 우물 물을 먹는 사람은 우물을 판 사람의 고마움을 알아야 하듯 태권도 세계화의 일등 공신 이금홍 전 총장의 생전 태권도 업적을 되새기고자 NBC-1TV가 제8주기 추모 특집방송을 기획했다. 이금홍 전 세계태권도연맹 사무총장 연보 ☞1935.8.5 경북 포항 출생 ☞1953 보상중 졸업 ☞1956 보성고 졸업. 연세대학교 상경대학 경제학과 입학 ☞1959 연세대 총학생 위원장 ☞1960. 3 졸업. 서울은행 입사 ☞1961 고려대 경제학과 대학원 입학 ☞1963. 3 졸업 ☞1965년 한국학생운동자협릐회 발기인 ☞1967. 강덕원 태권도협회 가입 ☞1968 낙원운수 주식회사 대표이사 ☞1975 대한태권도협회 기술심의회 국제분과 위원장 ☞1977 대한태권도협회 대의원총회 중앙 대의원 ☞1980 덕수흥업주식회사 대표이사 ☞1980 4개국 친선국제태권도대회 한국대표팀 단장 ☞1982 세계태권도연맹 집행위원 ☞1983 경인미술관 개관 (주)경인미술관 대표이사 ☞1984 국내 최초 미술전문 월간지 '미
[NBC-1TV이광윤 보도본부장] 문희상 국회의장은 9일 오후 의장 집무실에서 바킷 듀센바예프(Bakyt DYUSSENBAYEV) 주한카자흐스탄 대사의 예방을 받았다. 이 자리에서 문 의장은 “카자흐스탄은 문재인 정부가 추진하는 신북방정책의 핵심 상대국 중 하나다”라면서 “카자흐스탄의 풍부한 자원을 가지고 있고, 한국은 높은 기술력을 가지고 있다. 두 나라가 협력하면 다양한 분야에서 윈윈(WIN-WIN)할 수 있다”고 말했다. 듀센바예프 대사는 “한국과 카자흐스탄의 관계는 전략적 동반자 관계이며, 양국 관계가 계속 발전하고 있다”면서 “의회를 대신해 초청의 말씀을 드린다. 의장님의 카자흐스탄 공식 방문을 부탁드린다”고 카자흐스탄 의회의 초청 의사를 전달했다. 이에 문 의장은 “초청에 감사드린다. 의회간 관계도 정부간 관계만큼 중요하고 최선을 다해야 한다”면서 “내년 제4차 유라시아 국회의장회의가 카자흐스탄에서 개최되므로, 이때 카자흐스탄에 방문할 기회가 있을 것 같다”고 답했다. 이날 예방에는 한충희 외교특임대사, 박재유 국제국장 등이 함께했다.
[NBC-1TV 이광윤 보도본부장] 문재인 대통령이 1일 오전 내년도 예산안에 대한 시정연설을 하기 위해 국회를 방문했다. 국회 정현관에 도착한 문 대통령은 유인태 사무총장의 영접을 받으며 로텐더 홀로 이동해 본회의장으로 입장했다. 이번 시정연설은 문 대통령 취임 후 세 번째이자 지난해 11월에 이어 1년 만의 시정연설이다. 다음은 문재인 대통령 시정연설 전문(全文)이다.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국회의장님과 의원 여러분. 2019년도 예산안을 국민과 국회에 직접 설명 드리고, 협조를 요청하고자 합니다. 국민의 삶을 함께 돌아보는 자리가 되었으면 합니다. 예산은, 성실하게 일한 국민과 기업이 빚어낸 결실입니다. 정직하게 세금을 납부해주신 국민과 기업에 감사드립니다. 아울러 그 결실이 어떻게 쓰이고 있는지, 어떻게 쓰여야 하는지, 깊은 관심을 가져주시길 바랍니다. 먼저 내년도 예산안의 방향과 목표를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이는 우리 사회가 가야할 방향과 목표를 말씀드리는 것이기도 합니다. 우리는 함께 잘 살아야 합니다. 국민 모두가 각자의 자리에서 잘 살아야 개인도, 공동체도 행복할 수 있습니다. 함께 잘 살자는 꿈이 민주주의와 경제발전의 동력이 되었습니다. 함께
[NBC-1TV 이광윤 보도본부장]문희상 국회의장은 31일 오후 의장 의장 접견실에서 관훈클럽과 한국언론진흥재단 공동주최로 Press-Fellowship 참가하는 동남아 6개국 (필리핀, 말레이시아, 베트남, 라오스, 미얀마, 캄보디아) 9명의 언론인을 만났다. 문 의장은 “대한민국 국회에 오신 걸 환영한다”면서 인사를 건넨 뒤 “문재인 대통령 취임 이후 정부는 한-아세안 관계를 격상하기 위해 ‘신남방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밝히며 “국회에서도 신남방정책에 기여하기 위해 ‘한-아세안 포럼’출범시켰다”고 말했다. 이어 문 의장은 “아세안 국가들의 면면을 보면 유구한 역사와 전통을 가진 나라들이 많다”면서 “유구한 역사적 경험을 바탕으로 앞으로 한반도 평화 및 남북 국회회담 성공을 위해 많은 성원과 지지를 부탁한다”고 당부했다. 이날 면담에는 이계성 대변인이 배석했으며 관훈클럽 및 한국언론진흥재단 관계자들이 함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