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BC-1TV 김종우 기자]국가보훈처(처장 피우진)는 3.1운동 및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이하여 국립묘지 외 독립유공자 묘소 (산재 묘소)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 방안을 마련한다. 이를 위해 국가보훈처는 지속적인 독립유공자 산재 묘소 실태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2015년부터 현재까지 총 5,360명의 독립유공자 묘소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3,399개 묘소 소재지를 확인하였으며, 실태조사 결과는 아래와 같다. (2018.12월말 현재 / 단위 : 명) 연도 조사 대상 묘소 소재 확인 미확인 소계 국내 산재 국외 소재 산골 북한 소재 멸실 국립 묘지 소계 묘소소재지불명 유족연락(X) 2015 1,000 724 561 2 56 15 32 58 276 95 181 2016 1,603 1,165 970 9 72 70 18 26 438 112 326 2017 1,905 1,245 756 16 249 72 78 74 660 221 439 2018 852 265 184 3 37 18 11 12 587 36 551 - 총 포상자 15,180명 중 7,761명(51.5%)의 묘소 소재를 확인하였고, 7,307명(48.5%)의 묘소가 미확인 되었다.  앞으로 소재
[NBC-1TV 김종우 기자] 국가보훈처(처장 피우진)는 일제강점기 의열단원으로 활동하며 종로경찰서에 폭탄을 투척하고 일본 군경과 교전하던 중 순국한 김상옥 의사를 기리는 「김상옥의사 항일독립운동 96주년 기념식」이 (사)김상옥의사기념사업회(회장 민승) 주관으로 22일 오전 11시 국립서울현충원 현충관에서 열린다고 밝혔다. 이날 추모식은 윤종오 서울북부보훈지청장과 독립운동 관련 단체 대표 및 회원, 유족, 시민 등 1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기념사업회장의 개회사, 김상옥 의사 소개 영상 상영, 참석내빈의 격려사 및 기념사, 헌화 등의 순으로 진행된다.
[NBC-1TV 김종우 기자] 국가보훈처(처장 피우진)는 2․8독립선언 100주년 기념 학술심포지엄 및 토론회가 22일(화) 오후 1시30분 국회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2․8독립선언100주년기념사업위원회(공동위원장 이종걸․표영은) 주최로 열린다고 밝혔다. ‘2·8독립선언, 지나온 100년과 이어갈 100년’을 주제로 진행되는 이번 학술심포지엄과 토론회에는 이병구 국가보훈처 차장을 비롯한 각계인사, 기념사업회, 시민 등 400여 명이 참석한다. 행사는 축사, 인사말씀, 기조강연 후 발제와 지정토론 등의 순으로 진행된다. 2․8독립선언은 100년 전인 1919년 2월 8일, 일본 동경 YMCA에서 재일본 유학생 600여 명이 우리 민족의 자주독립 의지를 세계만방에 천명한 역사적인 선언으로, 이후 범민족적 독립만세운동인 3․1운동의 불씨를 지폈고, 그해 4월 11일 상해 대한민국임시정부를 수립하는 계기가 됐다.
[NBC-1TV 김종우 기자]국가보훈처(처장 피우진)는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군무총장과 국무총리를 지낸 노백린 장군을 기리는 「계원 노백린 장군 순국 93주기 추모식」이 21일 오전 11시 국립서울현충원 현충관에서 열린다고 밝혔다. 이날 추모식은 이용기 서울남부보훈지청장과 독립운동 관련 단체 대표 및 회원, 유족, 시민 등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추모예배, 추모사, 헌화 및 분향, 추모공연 등의 순으로 진행된다.
[NBC-1TV 김종우 기자]피우진 국가보훈처장은 18일 오후, 수유리 애국선열 묘역(서울시 강북구)과 망우공원묘지(서울시 중랑구)를 방문, 독립유공자 묘소 관리상태 등에 대한 현장점검에 나선다. 수유리 애국선열 묘역에는 독립유공자 16명의 묘소와 광복군 합동묘가 있고, 망우공원묘지에는 독립유공자 개별 묘소 10기가 산재해 있다. 피우진 처장은 이날 수유리 애국선열 묘역에서 애국선열 묘소와 광복군 합동묘를 점검한데 이어, 망우공원묘지에 안장된 독립유공자의 묘소를 점검할 예정이다. 국가보훈처에 따르면 수유리 애국선열 묘역은 그동안 국가차원에서의 예우와 관리가 미흡했지만, 올해부터 별도 예산 편성을 통해 묘역 관리인 2명을 채용해 상시점검과 보수, 벌초 등 국가가 직접 관리한다. 보훈처는 특히, 전국에 산재된 독립유공자 등 합동묘역의 위상을 높이고 안정적인 관리·운영을 위해 <국가관리묘역>으로 지정할 계획이다. <국가관리묘역>으로 지정되면 국립묘지에 준해 묘역을 상시 점검하고, 벌초와 훼손된 묘역 복구 등 예산과 전담인력을 통한 체계적인 관리가 이뤄진다. <국가관리묘역> 지정은 합동묘역의 소유자와 관리자 또는 유족이 요청하면, 국
[NBC-1TV 김종우 기자]일제강점기 당시 독립운동과 관련해 형벌을 받았던 수형자 5천 3백여 명이 확인됐다. 국가보훈처(처장 피우진)는 17일 “지난해 3월부터 11월까지 ‘일제강점기 수형인명부’에 대한 전국 시(군)·읍·면 전수조사를 통해 독립운동 관련 수형자 5천 323명을 확인했다.”라고 밝혔다. 특히, 이 가운데 독립유공자 포상을 받지 않은 수형자는 2,487명으로, 국가보훈처는 3·1운동 100주년인 올해 독립유공자 포상에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일제강점기 당시 수형인(범죄인)명부는 형(刑)을 받은 사람의 ‘성명, 본적, 주소, 죄명, 재판일자, 형명형기, 처형도수(재범여부)’ 등을 적은 간결하고 중요한 인적정보이자 독립운동 활동을 입증하는 핵심 기초자료로 독립유공자 발굴·포상에 활용도가 매우 높다. 하지만, 이 같은 수형인명부는 국가기록원에 이관되지 않고 아직도 수형인의 본적지에 산재해 있는 경우가 많아 오래전부터 학계 등에서 전수조사 필요성이 제기돼 왔다. 이에 국가보훈처는 국정과제인 ‘국가를 위한 헌신을 잊지 않고 보답하는 나라’의 2018년도 세부실천과제로 ‘일제강점기 수형인명부 전수조사’를 선정, 3·1운동 및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NBC-1TV 김종우 기자] ‣ 국가보훈처, ‣ 임시정부수립 100주년 기념식, 충칭 광복군 총사령부 복원, 국외 독립유공자 후손 등 초청사업, ‘독립의 횃불’ 전국 릴레이 등 3대 분야 26개 사업 추진 만전 ‣ 피우진 처장 “지난 100년 기억·계승하고, 국민이 함께 ‘새로운 희망의 미래 100년’ 만들어 가는 출발점 될 수 있도록 역량 집중 할 것” 국가보훈처(처장 피우진)는 3·1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은 올해 국민들과 함께하는 다양한 사업을 추진한다. “기억과 계승, 예우와 감사, 참여와 통합”을 100주년 추진방향으로 설정하고, 이를 위해 <기억과 계승> 12개, <예우와 감사> 8개, <참여와 통합> 6개 사업 등 3대 분야 26개의 주요 사업 추진에 만전을 기할 방침이다. 국가보훈처는 이를 통해 100년 전 지역과 세대, 종교를 뛰어 넘어 모든 국민이 한 마음으로 대한독립과 국민주권 의지를 전 세계에 알렸던 선열들의 정신과 뜻을 기억하고, 국민통합의 ‘새로운 희망의 미래 100년’을 만들어가는 토대 마련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NBC-1TV 김종우 기자] 대한민국 대표 영화배우 안성기와 박중훈이 성신여대 서경덕 교수와 힘을 모아 3.1운동 100주년을 기념하여 '지방 도시 만세운동 영상 캠페인'에 내레이션으로 동참했다. 그 첫 도시로 창원시에 관한 영상을 제작했는데, 안성기와 박중훈이 한국어 내레이션으로 각각 1편씩 재능기부로 참여했다. 제1편은 1919년 가장 격렬했던 만세운동 중 하나로 손꼽히는 창원의 '4.3 삼진연합대의거'의 전개과정 및 결과, 시위를 주도했던 석당 변상태 선생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제2편은 일제에 의해 최초의 계획도시로 만들어진 진해의 탄생 배경과 아직까지 남아있는 일제시대의 건축물 소개 및 김구의 친필시비 등의 근대문화유산을 소개하고 있다. 이번 일을 기획한 서경덕 교수는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전국적으로 벌어졌던 대표 만세운동을 각 도시별로 네티즌들에게 소개하고자 이번 영상 캠페인을 시작했다"고 전했다. 또한 서 교수는 "한국어 영상을 통해서는 우리 스스로가 독립운동 역사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자는 취지이고 향후 다국어 영상을 통해서는 3.1운동의 정신을 전 세계에 널리 알릴 계획이다"고 덧붙였다. 특히 안성기와 박중훈은 "올해는 3.